본문 바로가기

청화백자8

17세기 청대 강희 덕화요 청화접시 清德化窑提篮青花盘 청나라의 강희제(재위 1661년 ~ 1722년)시기 덕화가마에서 제작되어진 바구니모양 청화접시 덕화요는 현재 Fujian 성 Dehua에 위치하고 있어서 지역명으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유명한 도자기 가마로서 복건성 해안 지역의 고대 수출 도자기 의 중요한 생산지 중 하나입니다 . 명나라 시대에는 백옥 과 같은 유약 이 결합된 관음보살과 달마의 백자 조각상이 제작되었으며, "상아백", "유백색" 이라는 칭송을 받았습니다 . 청나라 시대에는 백자 외에도 청화백자와 채색자기가 인기를 끌었다. 원나라 이후 덕화요 도자기가 해외로 수출되었고, 원나라 덕화요 청화백자가 필리핀 과 말레이시아 에서 출토되었으며 , 청나라 덕화요 청화백자가 출토 되었습니다 . 태국 , 인도네시아, 탄자니아 및 동아프리카에서도 발견되었.. 2024. 4. 8.
16세기 명대 청화 백자완 明青花碗 특유의 은은한선과 색, 몽환적인 그림이 참 아름답습니다. 명나라 가정제 ( 1522 - 1566 AD ) 또는 만력제 ( 1563 - 1620 )시기 청화백자. 이시기 테마에는 용과 불사조, 꽃과 새, 물고기와 해조류 등이 포함됩니다. 패턴의 특징: 꽃 조합 문자. 꽃가지와 소나무 가지는 복과 장수를 뜻하는데, 어떤 꽃가지에는 풍년, 천하평화, 장수, 나라의 평안 등을 적을 수 있는 여백이 있습니다. 출처 : 슬라웨시 북부지역에서 구입 중국에서 발견되는 같은 기물 2024. 1. 19.
17세기 클라크 도자기 康熙克拉克瓷器 청대 강희제(1661 - 1722)때 생산된 수출용 크라크 도자기 클라크 도자기 또는 클라크 자기(Dutch Clarke Porcelain)는 중국 명나라 말기(1573-1620)에서 청나라 강희제 (1661-1722)까지 생산된 중국 수출용 도자기의 일종이며, 클라크 도자기는 운송에 사용되는 포르투갈 선박(카라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것으로 여겨집니다. karak(이탈리아어 또는 스페인어 karacca)라는 이름 자체는 르네상스 지중해 무역에 사용된 무역선의 일종인 아랍어 karakwal(간단히 상선을 의미)에서 파생된 것으로 전해집니다. 중국 클라크 자기는 경덕진과 장저우의 평하가마에서 생산되었습니다. 배치의 대부분은 다수의 봉헌문 또는 비단 봉헌문으로 구성된 외륜형을 채택하고 가장자리는 중앙의 주.. 2024. 1. 19.
18세기 청대 중기 해바라기 문양 청화백자 清中期太阳花青花盘 1700년대 후반에서 1800년대 초기에 제작된것으로 추측되며 1817년 말라카해협에서 침몰한 화물선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지난번에는 7개의 해바라기 문양이 있었으나 이것은 6개가 그려져있습니다. 출처 : 칼리만탄 북부지역에서 구입 1995년 네덜란드 크리스티 경매에서 낙찰받아 대영박물관에서 보관중인 같은 기물 2024. 1. 1.
18세기 청대 중기 청화백자 青花大碗 1700년대 - 1820년대 건륭제 부터 가경제(청나라 7대황제) 시대의 영지문양이 들어간 청화백자 그릇 출처 : 칼리만탄 북부지역에서 구입 중국에서 발견되는 같은 기물사진 2023. 12. 29.
17-18 세기 모란문양 청화백자 접시 清康熙 青花牡丹 大盘 17-18 세기 강희제 (1661년 ~ 1722년) 시기 유행했던 쌍모란 청화백자 접시 清康熙 青花牡丹 大盘 출처 : 칼리만탄 북부지역에서 구입 2023. 12. 29.
17세기 말 덕화요 청화백자 明末青花盘 덕화요는 중국 남단에 위치한 복건성 중부 덕화현 일대 민요를 총칭하는 말이다. . 덕화요는 관요인 경덕진이나 용천요와는 다른 독자적인 무역도자로 발돋움 했다. 천주항을 통해 동남아와 이슬람 등지에 생활용기를 수출하고 중국 북방까지도 자신들의 그릇을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덕화요의 태토 성분은 점력이 좋아 조소에 유리하여 각종 불상이나 도석인물상 제작에 적합했다. 일반적으로 북송시대 (960∼1127)의 덕화요 청백자는 경덕진의 것들과 비교했을 대 보다 창백한 청백색을 띠고 있다. - 한국일보 기사 참조 - 출처 : 칼리만탄 북부지역에서 구입 중국에 있는 비슷한 기물 2023. 12. 23.
18세기 건륭제乾隆帝 시기 청화백자 - 1 - 18세기 경덕진에서 만들어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 유럽등으로 수출되었던 청화백자 출처 : 북부 칼리만탄지역에서 현지인에게서 구입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중인 같은 기물 사진 2023.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