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대도자기2

발굴 또는 도굴? 보물찾기 중국에서 인도네시아로 당, 송, 명, 청대 중국도자기들이 수출했던 경로는 크게 2가지 방향으로 전해졌던것 같습니다. 주로 발견되는 중국도자기들은 관요는 아에 없고 민요들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그중 하늘색 비취색이 나는 용천요 , 호전요등이 발견되고 있으며 발견되고 있는 지역이 워낙 오지이다보니 정부의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여 개인들이 발견하여 개인들끼리 거래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렇게 명나라때 기물들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ㅎㅎㅎ 2023. 12. 4.
15 세기 명대 청화 분첩함 明晚青花草花纹粉盒 꽃 문양을 장식한 중국식 청화백의 작은 상자로 청화백자에 청(코발트)색의 좋은 품질을 보여줍니다. 중국에서는 파란색이 수마미, 수피니, 수니포 등 다양한 이름으로 수입된 재료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은 또 다른 이름인 hui hui Ch'ing(Mohammedan blue)에서 알 수 있듯이 아마도 페르시아에서 온 것으로 보입니다. 코발트는 9세기 당나라 시대에 저화도 유약으로 중국 북부의 도자기에 사용되었습니다. 여기서 파란색은 특히 단독으로 사용할 때 풍부하게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14세기가 되어서야 페르시아에서 수입된 코발트가 장식용 재료로 사용되어 큰 효과를 거두었습니다. . 이 도자기는 해상 무역로를 통해 인도네시아로 수출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출처 : 원 명대 유물이 발견된지역에서 .. 2023. 12. 3.